Search

AI를 활용한 빠르고 스마트한 기획

앱/웹기획 전문 플래넘. AI를 활용하여 빠르고 스마트하게. 피그마로 디자인에 가깝게.

모호한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기획으로
뜬구름 아이디어를 손에 잡히는 화면으로

★★★★★ 평점 5점 만점의 고객 후기

15년 이상의 기획 및 프로젝트 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에 즉시 적용 가능한 스토리보드를 제공합니다.

화면 설계보다 더 중요한 정책 설계를 우선 진행합니다.
정책 설계를 위한 용어 정의서, 사용자 시나리오 정의서를 우선 작성하여 서비스의 가치를 구체화합니다. 이 작업은 프로젝트 중반에도 계속 이어집니다.
기획 요구 사항에 맞춤한 스토리보드를 작성합니다.
최신 UI/UX 트렌드를 반영하여 기획합니다.(예: 모바일 반응형을 고려한 기획)
작업 진행중 수시 커뮤니케이션으로 기대치와 결과물의 괴리를 최소화합니다.
스토리보드 제작 순서: 요구사항정의>벤치마킹>기획방향/컨셉 도출>정책 설계>사이트 구조 확정>세부 화면기획>기획 완료
디스코드 혹은 슬랙을 기본 소통 채널로 쓰고, 노션,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함께 사용합니다.

피그마를 쓰면 뭐가 좋은가요?

실제 서비스 화면에 가까운 스토리보드 작성 가능
쉽고 빠르게 적응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작업 완료후에도 간단한 수정은 직접 가능합니다.
다양한 템플릿,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PPT 보다 빠른 제작이 가능합니다.
버전 관리가 필요없습니다. 모든 작업이 실시간 반영되므로 파일 버전을 여러 벌 관리하느라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.
혹시 실수로 잘못 수정하거나 작업물이 지워져도 무한 히스토리 기능으로 언제든 이전 상태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.
실시간 협업이 가능합니다. 피그마는 웹 기반 툴이기 때문에 모든 작업이 실시간으로 반영됩니다.
PM, 기획자, 디자이너, 개발자가 모두 하나의 파일을 보며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.

제공하는 서비스는 무엇인가요?

1.
프로젝트 일정표: 프로젝트의 주요 일정과 마일스톤을 정리한 문서로, 각 단계별로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계획합니다.
2.
용어 정의서: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와 그 정의를 정리한 문서로, 참여자 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됩니다.
3.
사용자 시나리오 정의서: 사용자가 시스템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설명하는 시나리오를 정리한 문서로,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4.
데이터명세서: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데이터의 구조와 형식을 정의한 문서로,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5.
메뉴구조도(IA): 정보 구조(Information Architecture)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표로,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와 서브메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.
6.
스토리보드(피그마): 프로젝트의 흐름과 디자인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구로, 피그마를 사용하여 각 화면의 레이아웃과 기능을 미리 설계합니다.
※ 프로젝트 완료 시 피그마 파일(*.fig) 제공
기획 샘플 문서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.

진행 절차는?

1. 요구사항정의: 사전 조사 및 온라인 미팅을 통한 심층 분석
2. 벤치마킹: 유사/경쟁 서비스 조사
3. 기획방향/컨셉 도출: 핵심 방향성 설정
4. 정책 및 구조 확정: 정의서 작성 및 메뉴 구조화
5. 세부기획: 화면별 기능 및 스토리보드 작성
6. 수정/컨펌: 피드백 반영 및 확정
7. 완료: 최종 산출물 전달

유의사항

PC 웹 기준 1벌 작성 (모바일은 반응형으로 대응, 필요시 별도 기획)
앱은 단일 해상도 기준 작성 (타 해상도는 별도 진행)
수정은 협의된 범위 내에서만 가능 (추가 기획은 별도 비용)
문의 주시면 24시간 안에 연락드립니다~
문의: 아래 ‘1분 만에 문의하기’ 버튼을 누르세요
이메일: info@planum.one
크몽에서 보기: https://kmong.com/@플래넘